

Online Account Cleanup
Online Account Cleanup
유저들에게 익숙치 않은 보안 기능인 '온라인 계정들 정리'의 기능 소개 페이지 개선을 통해 이 기능에 대한 유저의 Registration률을 높임.
유저들에게 익숙치 않은 보안 기능인 '온라인 계정들 정리'의 기능 소개 페이지 개선을 통해 이 기능에 대한 유저의 Registration률을 높임.



Role
프로덕트 PM, 컨텐트 라이터, 리서쳐, 일러스트레이터와 함께 collaboration 하며 UX디자인을 진행함.
Online account cleanup 이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300개가 넘는 온라인 계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계정들이라고 한다. 온라인 계정 정리는 이러한 불필요한 온라인 계정을 찾아서 삭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안 기능이다. 이 프로젝트는 웹 앱으로 처음 개발된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모바일 버전으로 변환하며 이슈가 된 기능 정의 페이지를 개선하는 작업을 포함함. 이 포트폴리오에서 웹 앱에 존재했던 사용자 경험의 문제들을 어떻게 개선했으며, 그 개선 사항들을 모바일 버전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문제 정의
아래 화면은 이미 출시된 온라인 계정정리 기능의 웹 버전이고 이 화면에서는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소개하기 위해 비디오를 활용함. 이 비디오를 통해 기능을 설명하는 아이디어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내용이지만, 기능이 출시된 이후 현실은 사용자들이 이 비디오를 거의 클릭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즉 이 온라인 계정정리에 대한 유일한 설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인데, 당연히 이 기능에 대한 이해가 적으므로 이 기능에 대한 Registration률은 낮을 수 밖에 없었음.
하여 모바일 앱 버전으로 새로 디자인 하면서 이 기능의 내용이 쉽게 이해가 되게 하고 기능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하여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함.

Online Account Cleanup
Enhance user engagement and value perception by improving the feature introductory page of Online Account Cleanup, achieving higher enrollment rates.
Role
프로덕트 PM, 컨텐트 라이터, 리서쳐, 일러스트레이터와 함께 collaboration 하며 UX디자인을 진행함.
Online account cleanup 이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300개가 넘는 온라인 계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계정들이라고 한다. 온라인 계정 정리는 이러한 불필요한 온라인 계정을 찾아서 삭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안 기능이다. 이 프로젝트는 웹 앱으로 처음 개발된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모바일 버전으로 변환하며 이슈가 된 기능 정의 페이지를 개선하는 작업을 포함함. 이 포트폴리오에서 웹 앱에 존재했던 사용자 경험의 문제들을 어떻게 개선했으며, 그 개선 사항들을 모바일 버전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문제 정의
아래 화면은 이미 출시된 온라인 계정정리 기능의 웹 버전이고 이 화면에서는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소개하기 위해 비디오를 활용함. 이 비디오를 통해 기능을 설명하는 아이디어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내용이지만, 기능이 출시된 이후 현실은 사용자들이 이 비디오를 거의 클릭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즉 이 온라인 계정정리에 대한 유일한 설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인데, 당연히 이 기능에 대한 이해가 적으므로 이 기능에 대한 Registration률은 낮을 수 밖에 없었음.
하여 모바일 앱 버전으로 새로 디자인 하면서 이 기능의 내용이 쉽게 이해가 되게 하고 기능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하여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함.

Online Account Cleanup
유저들에게 익숙치 않은 보안 기능인 '온라인 계정들 정리'의 기능 소개 페이지 개선을 통해 이 기능에 대한 유저의 Registration률을 높임.
Role
프로덕트 PM, 컨텐트 라이터, 리서쳐, 일러스트레이터와 함께 collaboration 하며 UX디자인을 진행함.
Online account cleanup 이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300개가 넘는 온라인 계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계정들이라고 한다. 온라인 계정 정리는 이러한 불필요한 온라인 계정을 찾아서 삭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안 기능이다. 이 프로젝트는 웹 앱으로 처음 개발된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모바일 버전으로 변환하며 이슈가 된 기능 정의 페이지를 개선하는 작업을 포함함. 이 포트폴리오에서 웹 앱에 존재했던 사용자 경험의 문제들을 어떻게 개선했으며, 그 개선 사항들을 모바일 버전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문제 정의
아래 화면은 이미 출시된 온라인 계정정리 기능의 웹 버전이고 이 화면에서는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소개하기 위해 비디오를 활용함. 이 비디오를 통해 기능을 설명하는 아이디어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내용이지만, 기능이 출시된 이후 현실은 사용자들이 이 비디오를 거의 클릭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즉 이 온라인 계정정리에 대한 유일한 설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인데, 당연히 이 기능에 대한 이해가 적으므로 이 기능에 대한 Registration률은 낮을 수 밖에 없었음.
하여 모바일 앱 버전으로 새로 디자인 하면서 이 기능의 내용이 쉽게 이해가 되게 하고 기능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하여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함.

Online Account Cleanup
유저들에게 익숙치 않은 보안 기능인 '온라인 계정들 정리'의 기능 소개 페이지 개선을 통해 이 기능에 대한 유저의 Registration률을 높임.
Role
프로덕트 PM, 컨텐트 라이터, 리서쳐, 일러스트레이터와 함께 collaboration 하며 UX디자인을 진행함.
Online account cleanup 이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300개가 넘는 온라인 계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계정들이라고 한다. 온라인 계정 정리는 이러한 불필요한 온라인 계정을 찾아서 삭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보안 기능이다. 이 프로젝트는 웹 앱으로 처음 개발된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모바일 버전으로 변환하며 이슈가 된 기능 정의 페이지를 개선하는 작업을 포함함. 이 포트폴리오에서 웹 앱에 존재했던 사용자 경험의 문제들을 어떻게 개선했으며, 그 개선 사항들을 모바일 버전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문제 정의
아래 화면은 이미 출시된 온라인 계정정리 기능의 웹 버전이고 이 화면에서는 온라인 계정 정리 기능을 소개하기 위해 비디오를 활용함. 이 비디오를 통해 기능을 설명하는 아이디어는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발견된 내용이지만, 기능이 출시된 이후 현실은 사용자들이 이 비디오를 거의 클릭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즉 이 온라인 계정정리에 대한 유일한 설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인데, 당연히 이 기능에 대한 이해가 적으므로 이 기능에 대한 Registration률은 낮을 수 밖에 없었음.
하여 모바일 앱 버전으로 새로 디자인 하면서 이 기능의 내용이 쉽게 이해가 되게 하고 기능에 대한 가치를 느끼게 하여 사용자 참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함.

Online Account Cleanup
Enhance user engagement and value perception by improving the feature introductory page of Online Account Cleanup, achieving higher enrollment rates.
기능 정의 화면의 예들을 분석
기능 정의 화면의 예들을 분석
기능 정의 화면의 예들을 분석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렵고, 이해를 위해 노력이 필요한 카테고리의 제품들을 조사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기능을 소개하고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지 알아보았다.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렵고, 이해를 위해 노력이 필요한 카테고리의 제품들을 조사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기능을 소개하고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지 알아보았다.




간단한 문구와 일러스트레이션 형식
간단한 문구와 일러스트레이션 형식
이 형식은 가장 기능 소개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사용자가 이 형식에 익숙할 거라고 가정함
이 형식은 가장 기능 소개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사용자가 이 형식에 익숙할 거라고 가정함
텍스트 정보가 너무 많으면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고 작은 모바일화면에서 많은 양의 정보가 없어도 정보를 잘 이해되게 전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음.
텍스트 정보가 너무 많으면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고 작은 모바일화면에서 많은 양의 정보가 없어도 정보를 잘 이해되게 전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음.




사용 후기 형식
사용 후기 형식
사용자의 좋은 리뷰와 사진은 해당 기능/제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줌.
사용자의 좋은 리뷰와 사진은 해당 기능/제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줌.
기능에 대한 설명 없이 사용 후기 만으로 사용자가 기능/제품을 완벽히 이해했을 거라 가정하기 어려움.
기능에 대한 설명 없이 사용 후기 만으로 사용자가 기능/제품을 완벽히 이해했을 거라 가정하기 어려움.




사용자 주도 학습
사용자 주도 학습
화면과의 상호작용에 적극적인 유저는 화면의 정보를 제대로 이해할 가능성이 있음.
화면과의 상호작용에 적극적인 유저는 화면의 정보를 제대로 이해할 가능성이 있음.
사용 후기와 마찬가지로 기능에 대한 설명없이 단독으로만 주도학습 컨텐츠를 넣는 것이 유저의 이해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사용 후기와 마찬가지로 기능에 대한 설명없이 단독으로만 주도학습 컨텐츠를 넣는 것이 유저의 이해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Quick Test
Quick Test
Quick Test
기능 소개 페이지에 대한 여러가지 컨셉 시안을 만들고 프로토타입화한 뒤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피드백을 수집하고자 함.
기능 소개 페이지에 대한 여러가지 컨셉 시안을 만들고 프로토타입화한 뒤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피드백을 수집하고자 함.
테스트할 컨셉 시안들 모음




Concept A (일러스트레이션 + 간단한 설명)
Concept A (일러스트레이션 + 간단한 설명)
일러스트레이션과 텍스트로 기능을 소개하는 일반적인 방법. 사용자가 'I want to know more'를 누르면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음.
일러스트레이션과 텍스트로 기능을 소개하는 일반적인 방법. 사용자가 'I want to know more'를 누르면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음.




Concept B (애니메이션 + 사용 후기)
Concept B (애니메이션 + 사용 후기)
기존 웹 화면에서 마스크가 씌여진듯 가운데 플레이 버튼하나면 있던 비디오 소개 방식이 아닌 페이지가 열리자 마자 재생되는 Json(Lottie animation)으로 기능 설명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하는 컨셉. 그 아래에는 기능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후기 컨텐츠가 추가됨.
기존 웹 화면에서 마스크가 씌여진듯 가운데 플레이 버튼하나면 있던 비디오 소개 방식이 아닌 페이지가 열리자 마자 재생되는 Json(Lottie animation)으로 기능 설명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하는 컨셉. 그 아래에는 기능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후기 컨텐츠가 추가됨.




Concept C (사용자가 직접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
Concept C (사용자가 직접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
사용자가 라디오 버튼을 선택해가며 삭제하려는 온라인 계정의 유형을 읽어보고 선택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기능에 대해서 배울 수 있게 하는 컨셉.
사용자가 라디오 버튼을 선택해가며 삭제하려는 온라인 계정의 유형을 읽어보고 선택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기능에 대해서 배울 수 있게 하는 컨셉.




Concept D (기능 소개 없이 바로 기능을 사용하면서 학습)
Concept D (기능 소개 없이 바로 기능을 사용하면서 학습)
기능 소개 페이지가 정말로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 컨셉. 사용자가 바로 체크할 온라인 계정을 선택하게 하고 정리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하여 이 기능에 대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컨셉.
기능 소개 페이지가 정말로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 컨셉. 사용자가 바로 체크할 온라인 계정을 선택하게 하고 정리 프로세스를 시작하게 하여 이 기능에 대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컨셉.
사용자 테스트
리서치 참가자들은 위 네가지 컨셉이 포함된 프로토타입 링크를 받고 테스트함. 모든 프로토타입을 테스트 한 뒤 이해도에 대한 자신감을 1~7점 척도로 평가하라는 요청을 받게 됨. 점수 척도로 평가함은 물론 그렇게 평가한 이유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적게 함.
50명의 US 참가자들 (recruited by UsabilityHub) / 나이: 22 ~55
리서치 참가자들은 위 네가지 컨셉이 포함된 프로토타입 링크를 받고 테스트함. 모든 프로토타입을 테스트 한 뒤 이해도에 대한 자신감을 1~7점 척도로 평가하라는 요청을 받게 됨. 점수 척도로 평가함은 물론 그렇게 평가한 이유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적게 함.
50명의 US 참가자들 (recruited by UsabilityHub) / 나이: 22 ~55




테스트 결과




Concept A
Concept A
Score 1-3
“내가 좀더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할 것 같아요!”
Score 1-3
“내가 좀더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할 것 같아요!”
Score 4-5
"난 내 이메일 주소와 연동되는 아이디가 위험한지 위험하지 않은지에 대한 이 기능을 이해한 것 같아요."
Score 4-5
"난 내 이메일 주소와 연동되는 아이디가 위험한지 위험하지 않은지에 대한 이 기능을 이해한 것 같아요."
Score 6-7
"컨텐츠가 기능을 잘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난 확실하게 이해한듯 해요!"
Score 6-7
"컨텐츠가 기능을 잘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난 확실하게 이해한듯 해요!"




Concept B
Concept B
Score 1-3
"설명이 좀 불충분한 것 같아요! 이 애니메이션이 좀 혼란스럽고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 같아요!"
Score 1-3
"설명이 좀 불충분한 것 같아요! 이 애니메이션이 좀 혼란스럽고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 같아요!"
Score 4-5
"간단한 튜토리얼이 있다면 자세하게 알 수 있을 듯 해요!"
“쉬울 것 같으면서도 조금 혼란스럽기도 한 것 같아요!”
Score 4-5
"간단한 튜토리얼이 있다면 자세하게 알 수 있을 듯 해요!"
“쉬울 것 같으면서도 조금 혼란스럽기도 한 것 같아요!”
Score 6-7
"이 기능을 통해 어떤 Benefit이 있고 무엇이 보호될지 명확한 것 같아요!"
Score 6-7
"이 기능을 통해 어떤 Benefit이 있고 무엇이 보호될지 명확한 것 같아요!"




Concept C
Concept C
Score 1-3
"대기업에 저장된 내 계정 정보가 온라인으로 유출될 경우, 어떤 계정 정리 기능도 도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Score 1-3
"대기업에 저장된 내 계정 정보가 온라인으로 유출될 경우, 어떤 계정 정리 기능도 도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Score 4-5
"여기에 각 기능이 무엇을 하는지 적혀있어서 난 대강 무슨 기능인지 알 것 같아요!"
Score 4-5
"여기에 각 기능이 무엇을 하는지 적혀있어서 난 대강 무슨 기능인지 알 것 같아요!"
Score 6-7
"언어가 많이 특별하지 않아요! 해서 매우 명확해서 무슨 말인지 이해되기 쉬웠어요!"
Score 6-7
"언어가 많이 특별하지 않아요! 해서 매우 명확해서 무슨 말인지 이해되기 쉬웠어요!"




Concept D
Concept D
Score 1-3
"잘 이해가 안가요! 왜냐하면 온라인 계정정리가 무엇을 하는 지 모르니까요! 내 Gmail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요청한다? 왜 내가 액세스 권한을 부여해야 하나요?"
Score 1-3
"잘 이해가 안가요! 왜냐하면 온라인 계정정리가 무엇을 하는 지 모르니까요! 내 Gmail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요청한다? 왜 내가 액세스 권한을 부여해야 하나요?"
Score 4-5
"아주 기본적인 것 같지만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더 자세히 읽어봐야할 것 같아요!"
Score 4-5
"아주 기본적인 것 같지만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더 자세히 읽어봐야할 것 같아요!"
Score 6-7
"전문적으로 보여지긴 하는데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 주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Score 6-7
"전문적으로 보여지긴 하는데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 주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유관부서와 결과를 심층 분석
리서치팀의 권장 사항 :
유저들에게 온라인 계정정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단히 설명하면서 그들이 지우고 싶은 온라인 어카운트 유형에 대해 학습하게 할 수 있는 Concept A 와 C를 혼용하는 것을 추천
허나 사용자들이 자세한 정보의 도움없이 위험도가 높은 계정, 금융카테고리의 계정, 그리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온라인 계정에 대해서 지우도록 강요하면 안됨. (사용자들은 결정을 내릴 만큼 자신감이 없거나, 모든 옵션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무엇을 선택해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쉽게 이 화면에서 이탈하게 될 수 있음,)
리서치팀의 권장 사항 :
유저들에게 온라인 계정정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단히 설명하면서 그들이 지우고 싶은 온라인 어카운트 유형에 대해 학습하게 할 수 있는 Concept A 와 C를 혼용하는 것을 추천
허나 사용자들이 자세한 정보의 도움없이 위험도가 높은 계정, 금융카테고리의 계정, 그리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온라인 계정에 대해서 지우도록 강요하면 안됨. (사용자들은 결정을 내릴 만큼 자신감이 없거나, 모든 옵션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무엇을 선택해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쉽게 이 화면에서 이탈하게 될 수 있음,)




다른 권장 사항들 :
유저가 온라인 계정정리를 시작 하게 되면 위협적인 보안 이슈에 덜 노출되게 되고 또한 이 후의 계정 정리를 하는 과정이 간단할 것이라고 안심시키는 그러한 컨텐츠 업데이트가 필요함.
다른 권장 사항들 :
유저가 온라인 계정정리를 시작 하게 되면 위협적인 보안 이슈에 덜 노출되게 되고 또한 이 후의 계정 정리를 하는 과정이 간단할 것이라고 안심시키는 그러한 컨텐츠 업데이트가 필요함.
최종 개선된 기능 소개 화면
최종 개선된 기능 소개 화면
최종 개선된 기능 소개 화면
여러 피드백을 디자인 수정과 컨텐츠 수정을 통해 반영한 최종 디자인.
여러 피드백을 디자인 수정과 컨텐츠 수정을 통해 반영한 최종 디자인.




디자인 개선 결과
디자인 개선 결과
디자인 개선 결과
2023년 11월, 주당 평균 기능 등록 수 16,000건을 기록함.
2023년 11월, 주당 평균 기능 등록 수 16,000건을 기록함.
2023년 11월, 주당 평균 기능 등록 수 16,000건을 기록함.
이 기능의 등록 수는 동일한 온라인 계정 정리의 웹 버전보다 비약적으로 증가한 등록 수 이고 이 앱내의 다른 보안 기능의 등록 수보다 훨씬 더 큰 등록률(300%)을 보여줌. 즉 가장 심플한 것이 가장 잘 working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항상 사용자에게 좋은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새롭운 방법을 찾고 있지만 명확한 이점과 함께 그 이점이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소개되는 방법이 항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또 한번 알게 됨. 그러면서 심플하게 만드는 것이 실제로운 더 어렵다는 사실을 또 인지하게 됨.
이 기능의 등록 수는 동일한 온라인 계정 정리의 웹 버전보다 비약적으로 증가한 등록 수 이고 이 앱내의 다른 보안 기능의 등록 수보다 훨씬 더 큰 등록률(300%)을 보여줌. 즉 가장 심플한 것이 가장 잘 working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항상 사용자에게 좋은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새롭운 방법을 찾고 있지만 명확한 이점과 함께 그 이점이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소개되는 방법이 항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또 한번 알게 됨. 그러면서 심플하게 만드는 것이 실제로운 더 어렵다는 사실을 또 인지하게 됨.
이 기능의 등록 수는 동일한 온라인 계정 정리의 웹 버전보다 비약적으로 증가한 등록 수 이고 이 앱내의 다른 보안 기능의 등록 수보다 훨씬 더 큰 등록률(300%)을 보여줌. 즉 가장 심플한 것이 가장 잘 working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는 항상 사용자에게 좋은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명분으로 새롭운 방법을 찾고 있지만 명확한 이점과 함께 그 이점이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소개되는 방법이 항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고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또 한번 알게 됨. 그러면서 심플하게 만드는 것이 실제로운 더 어렵다는 사실을 또 인지하게 됨.